method란?
class의 멤버로 기능, 프로그램에서 동작, 행위와 같은 기능을 구현한 것
반복해서 사용하는 내용부가 있으면 반복되는 내용부를 묶어서 특정 이름으로 관리하는 것
메소드를 정의하면, 특정 처리를 한 곳에 모을 수 있다.
method 선언법 리턴 값의 형(type) 메소드(method) 명(인수 목록) { 문장; //'기능'을 정리하여 표현함. ... return 식; } method 호출법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 이름 메소드 이름 (인수 목록); class Sample2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Car car1; //객체를 생성한다. car1 = new Car(); .... car1.show(); //메소드를 호출합니다. .... } } 메소드를 main() 메소드 안에서 호출하려면 객체를 나타내는 변수 이름 다음 마침표를 찍고 메소드 이름을 적는다. 그리하여 코드 안에서 메소드가 호출되면 방금 정의한 메소드 안의 코드들이 한번에 실행된다. 접근법 - 클래스 밖에서 접근시 - 클래스 안에서 접근시
정의 시 return 값에 따라 자료형이 결정된다. 매개변수
개수와 자료형을 임의로 정의할 수 있고, 정의도니 형태대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. 메서드 종류
2. Call By Value 전달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매개 변수라 부른다.
객체를 가리키는 변수 이름을 적고 마침표를 찍은 후 필드 이름을 적는다.
필드 이름을 그대로 적는다. 혹은 this.를 필드 앞에 붙인다.
결과형 반환값이란?
해당 메서드가 실행을 마치고 되돌려주는 결과값을 가르킨다.
반환할 값이 없으면 return 예약어만 적거나 생략할 수 있다.
* return 정수 : 자료형 int
* return 실수 : 자료형 double
* return 논리 : 자료형 boolean
* return "문자열" : 자료형 String
* return 없음 : 자료형 void
메서드의 내용부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로, 호출하는 쪽에서 필요로 하는 값을 넘겨줄 때 그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다.
메서드를 실행할 때 필요치 않다면 선언할 필요가 없다.
1. Call By Reference
메서드를 호출하면서 매개 변수에 일반 자료형이 아닌 참조 자료형을 전달하여
전달받은 참족밧 자체를 조작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식
메소드를 이름으로 호출할 때 값(Value)을 전달하는 방식
참조 문헌
열혈강의 헬로 자바 프로그래밍
그림으로 배우는 Java Programming basic